기사 메일전송
<시사상식> 소방비상대응단계
  • 박동봉편집위원
  • 등록 2023-04-10 16:20:02

기사수정

소방비상대응단계


화재나 국가재난 발생 때 소방서나 소방본부가 발령하는 비상 대응단계. 총 3단계로 구성돼 있다. 


대응 1단계는 일상적인 사고로 발령되는 단계로, 화재 발생 관할 소방서 인력과 장비로 해결 가능한 경우 현장지휘대장의 권한으로 발령한다. 관할 소방서 소방관과 소방 차량, 4개팀의 119구조대가 투입된다. 통상 10명 미만의 인명피해, 상황 해결에 3~8시간 정도 소요될 경우에 해당한다. 


대응 2단계는 1단계 발령으로 대응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될 경우 관할 소방서 소방서장이 발령한다. 관할 소방서 인력과 장비를 포함해 인근 2~5개 소방서의 인력과 장비가 확대 투입되며, 공공기관과 고층건물과 백화점 등의 다중이용시설에서 발생한 대형화재, 항공기와 철도, 발전소 등에서 발생한 특수화재 등이 포함된다. 


대응 3단계는 소방본부장이 전체 상황의 지휘를 맡아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직접 상황을 보고하게 된다. 해당 지자체 소방본부의 전체 소방서 인력과 장비가 총동원되는데, 부족할 경우 인접 지자체의 소방력까지 동원할 수 있다. 3단계까지 발령될 경우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대형산불로 대응 3단계가 발령되는 경우가 많은데 산불 피해 예상면적이 100㏊(헥타아르) 이상, 진화 예상시간이 24시간 이상일 때 발령된다. 



덧붙이는 글

<출처 : 아시아경제신문>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영상뉴스더보기
  • 기사 이미지
  • 기사 이미지
  • 기사 이미지
  • 기사 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