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심리상담사 유균희 원장의 생각의 틀 바꾸기 (1) 나쁜 기억에서 벗어나 안전해지는 ‘상상하기’
  • 편집국
  • 등록 2023-02-02 17:14:07

기사수정
  • 심리상담사 유균희 원장의 생각의 틀 바꾸기 (1)
  • 나쁜 기억에서 벗어나 안전해지는 ‘상상하기’
트라우마는 우리의 정신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불안, 두려움, 공포, 공황장애 등은 트라우마와 관련이 깊습니다. 불안하면 마음 편히 살 수 없습니다.

상담중인 유균희 원장(오른쪽)


연경 씨(가명)는 고등학교 때 친구들과의 문제로 30대 중반이 된 지금까지 혹시나 길 가다가 자신을 아는 사람을 만나면, 자신을 보고 수군거리고 힐끔거릴 거라는 강박적인 생각으로 사람들을 만나기가 두렵고 불안했으며 나날이 더욱 힘들어했습니다. 그러다 점차 심해져서 새로 이사 간 곳에서도 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 집 앞 놀이터나 마트 가기도 두려워지고 시내도 나갈 수 없었습니다. 고등학교 때의 기억이 악몽으로도 나오고, 당시 친구들과 비슷한 스타일의 사람들을 보면 가슴이 쿵쿵거리고 명치가 갑갑해졌으며 불안하고 두려운 감정으로 도망 치곤 했습니다. 

 

연경 씨의 경우처럼 과거의 기억으로 인해 현재의 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라고 합니다. 이처럼 과거의 트라우마 경험은 현재를 사는 연경 씨의 현실 지각을 왜곡하고 행동과 정서에도 영향을 줍니다. 트라우마로 고통받는 사람은 과거 경험이 현재에도 일어나는 것처럼 지각하고 느끼는 탓에 실제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TSD 증상을 호소하는 내담자에게는 ‘안전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내가 있는 이 공간은 안전하다. 여기 있는 사람들도 안전하다’고 지각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불안장애나 공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답답한 자신의 상황에서 빠져나갈 탈출구가 없다고 느낍니다. 탈출구만 찾을 수 있으면 패닉(공황상태)을 느낄 필요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내가 위험에 처했거나 힘들 때 누군가 나를 그 상황에서 구해 줄 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그 순간을 견딜 수 있게 됩니다. 스스로가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뭔가를 할 수 있다는 느낌 또한 안전감을 느끼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경험해 보지 않았더라도 그런 장소와 대상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과 마음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상상하기’ 방법은 상상을 통해 내가 필요한 경험을 하게 해 몸과 마음에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것입니다.

 

첫째, ‘안전하고 편안한 장소를 상상하기’입니다. 특히, 불안한 일이 있거나 마음이 싱숭생숭할 때 편안한 장소에 있는 자신을 상상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둘째, ‘포근하게 보살펴 주는 대상을 상상하기’입니다. 내가 혼자라는 느낌이 들 때, 힘들고 외로울 때 이런 상상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셋째, ‘위험에서 지켜줄 수 있는 대상을 상상하기’입니다. 나를 위험에서 구해주고 나쁜 무리를 물리쳐 줄 수 있는 힘세고 강한 대상을 떠 올리면서, 내 몸과 마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관찰해 봅니다.


넷째, ‘지혜로운 대상을 상상하기’입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느낌이 들 때, 이 지혜로운 대상을 머릿속에 떠올리고 같이 의논과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연경 씨는 트라우마와 정서 상담을 병행하였습니다. 연경 씨를 늘 따라다니던 과거 나쁜 기억들이 점차 생각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러 떠 올려보아도 기억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집 앞은 물론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도 그렇게 두렵지도 불안하지도 않게 되어, 가족들과의 나들이가 즐거워지기 시작했다고 좋아하였습니다. 상담자의 입장에서도 내담자분의 증상이 사라지고 일상을 안전하게 즐기시는 모습을 보면 감사하고 행복해집니다.

 

해피브레인심리상담센터 / 유균희 원장



 

덧붙이는 글

해피브레인심리상담센터 051-701-3275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영상뉴스더보기
  • 기사 이미지
  • 기사 이미지
  • 기사 이미지
  • 기사 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